[고객사] [넷스파㈜] 빨대보다 더 해로운 바닷속 천덕꾸러기…폐어망, 가방이 되다 [비크닉] (23.04.30)

  • 관리자
  • 작성일2023.04.30
  • 조회수138

빨대보다 더 해로운 바닷속 천덕꾸러기…폐어망, 가방이 되다 [비크닉]

 

플라스틱 빨대보다 바다에 해로운 이것

2021년 개봉한 넷플릭스 환경 다큐멘터리 영화 '씨스피라시(Seaspiracy)'는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 플라스틱 빨대가 아닌 폐어망이라고 주장합니다.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된 플라스틱 빨대는 바다 쓰레기의 0.03%에 불과하지만, 폐어망은 무려 50%를 차지한다는 지적에 세계가 경악했죠.

절반이라는 수치엔 논란의 여지도 있어요. 큰 바다에 버려진 수많은 플라스틱 중 폐어망의 비중이 정확히 몇 퍼센트일지 가늠하긴 퍽 어려운 일일 테니까요. 분명한 사실은 우리가 버리는 어마어마한 양의 폐어망이 바다 생물들에 고통을 가하고 있고 해양 오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크고 튼튼해 잘 분해되지도 않는 이 바다 쓰레기를 처리하겠다고 나선 기업들이 있어요. 폐어망을 수거해 친환경 재료로 탈바꿈하는 자원 순환 소셜 벤처 '넷스파', 또 그 재료로 가방으로 만드는 친환경 패션 스타트업 '플리츠마마'입니다. 비크닉이 이들을 밀착 취재했어요. 폐어망이 가방으로 탄생하기까지의 여정을 독자 여러분께 자세히 소개해 드릴게요.

 

석유서 얻는 나일론, 버려진 폐어망서 뽑는다

폐어망의 실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지난달 20일 아침 일찍 부산 다대포항을 찾았어요. 일회용으로 사용되다 그대로 바다에 버려진 폐어망들이 어촌 곳곳에 방치돼 있었죠. 한구석에선 넷스파 직원들이 직접 수거한 폐어망을 선별하는 데 한창 열중하고 있었답니다.

멀찍이서 보면 초록색이었던 폐어망, 자세히 들여다보니 가느다란 초록색 실과 좀 더 굵고 진한 초록 실, 그리고 흰 로프 등 세 종류의 합성수지가 얽히고설켜 있었어요. 각각 산업 곳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나일론(PA6),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죠.

가방은 나일론으로 만들고요, PE와 PP는 전자제품의 재표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해요. PE, PP와 나일론 사이를 가위로 싹둑 잘라 분리했어요. 이후 원료들을 컨베이어 벨트에 투입해 거칠게 부수고(파쇄), 잘게 갈았더니(분쇄) 플레이크(flake)라는 작은 입자로 바뀌었어요.

송동학 넷스파 이사는 "나일론은 석유를 정제해 만드는 합성수지인데, 폐어망을 재활용해 만들면 석유로 만드는 과정과 비교해 탄소를 73% 줄일 수 있다"며 "이를 숫자로 환산하면 1t당 30년 된 소나무 680그루를 심는 효과"라고 설명했어요.

 

폐어망을 왜 가방으로 만들까

플레이크를 화학 약품으로 세척하고 원사(실)를 만드는 공정은 섬유·의류 기업 효성티앤씨가 담당해요. 넷스파와 효성티앤씨가 협업해 만든 실로 플리츠마마가 서울 홍대에 위치한 공장에서 가방을 제작하죠.

폐어망은 국내에서 처리할 방안이 사실상 없어 어민들에게 천덕꾸러기 같은 존재였어요. 30여 년 전엔 이를 압축해 중국 등으로 수출했는데, 1992년 발효된 바젤 협약으로 국가 간 폐기물 이동이 금지되면서 반출할 수도 없게 됐죠. 폐어망을 소각하거나 매립한다 해도 비용이 발생할뿐더러 또 다른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요.

빨대보다 더 해로운 바닷속 천덕꾸러기…폐어망, 가방이 되다 [비크닉] | 중앙일보 (joongang.co.kr)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댓글0